정보보안/악성코드
[정보보안][악성코드]인텔리전스 기반 사고 대응, 4장(2부)
qingfro9
2020. 7. 31. 09:00
4장 탐지
-
행위자 중심 표적 선정
-
알려진 첩보로 시작하기
-
유용한 탐지 첩보
-
자산 중심 표적 선정
-
자산 중심 표적 선정 사용하기
-
뉴스 중심 표적 선정 사용하기
-
다른 사람의 통보를 기반으로 한 표적 선정
-
표적 선정의 우선순위 매기기
-
즉각적인 요구
-
과거의 사고
-
심각성
-
표적 선정 활동 정리하기
-
경성 단서
-
연성 단서
-
관련된 단서들 분류하기
-
첩보 저장
-
인텔리전스 제공 요청 절차
-
결론
일반적으로 이런 모든 선정 방법을 이용해서 TI를 함 (신경쓰는 요소와 그 관계를 잘 연결시켰을대 좋은 TI 결과가 됨)
행위자 중심 표적 선정 (Actor centric targeting)
고통의 피라미드(Pyramid of Pain), ref) ATTACKIQ
자산 중심 표적 선정 (Asset centric targeting)
-
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 기술에 중점을 둔 선정 기법
뉴스 중심 표적 선정(News centric targeting)
다른 사람의 통보를 기반으로 한 표적 선정(third party)
-
행동 가능성(Actionability)
-
기밀성(Confidentiality)
-
운영 보안(Operational security)
피벗팅(Pivoting) : 서로 연관돼 있는지를 추적하는 것. 현재 사고와 과거의 사고에 단서가 존재하면 이러한 단서들의 연결성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.
TIP(Threat Intelligence Platform)